재점화 된 동남권신공항 건설 논란 “김해공항확장 vs 가덕도신공항”
상태바
재점화 된 동남권신공항 건설 논란 “김해공항확장 vs 가덕도신공항”
  • 양광수 기자
  • 승인 2018.12.17 17: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덕도 신공항 추진으로 부산시·국토부 입장대립, 여행업계 “동남권 여행시장에 맞는 공항 필요”
포화상태인 기존 공항을 대체하기 위해 논의한 동남권신공항 건설사업이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사진/ 한국공항공사

[트래블바이크뉴스=양광수 기자] 포화상태인 기존 공항을 대체하기 위해 논의한 동남권신공항 건설사업이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소음피해 등을 우려한 지역주민들의 반발이 거센 부산 김해신공항 대신 가덕도 신공항 추진 의사를 부산시와 오거돈 부산시장이 강력하게 밀어붙이고 있다.

이에 국토교통부와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부산의 가덕도 신공항 재추진 주장에 불가 입장을 단호하게 말하며 양측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애초 계획대로 김해 신공항을 영남권 관문공항으로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소음피해 등을 우려한 지역주민들의 반발이 거센 부산 김해신공항 대신 가덕도 신공항 추진 의사를 부산시와 오거돈 부산시장이 강력하게 밀어붙이고 있다. 사진/ 부산시
동남권신공항의 쟁점은 크게 소음, 안전, 군 공항 사용 등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현재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수준에서는 공항 소음문제는 더욱 야기될 수밖에 없다. 사진/ 부산시

동남권신공항의 쟁점은 크게 소음, 안전, 군 공항 사용 등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현재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수준에서는 공항 소음문제는 더욱 야기될 수밖에 없다.

국토교통부는 소음문제에 대해 피해를 보는 사람들을 802세대로 추정하고 있으나, 부산시 자체 용역결과에 의하면 3만 3000세대까지 늘어난다. 반면 가덕도 신공항의 경우 인천국제공항과 같이 섬과 바다를 매립해 활주로를 만들기 때문에 소음피해가 거의 없다.

안전문제도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확장된 김해공항을 비행기가 지날 때 돌출된 장애물이 있을 경우 국내항공법상 장애물로 판명되어 무조건 절취해야 한다. 김해 근처에는 오봉산, 임호산, 경운산 등 산이 장애물로 판명되어 있다.

가장 큰 문제는 김해공항이 군 공항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사진/ 한국공항공사

가장 큰 문제는 김해공항이 군 공항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도 군사 작전이 펼쳐지는 공항에서 활주로 추가만으로 활용이 쉽지 않다. 뿐만 아니라 항공기 야간 운항제한 시간이 밤 11시부터 오전 6시까지 걸쳐있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부산시는 현재 추진 중인 김해신공항 건설 예산은 약 5조 9000억 원으로, 가덕도 신공항도 비슷한 규모의 비용으로 건설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여행사와 항공업계는 가덕도 신공항 논의에 즉각 환영의 뜻을 내비치고 있다. 사진/ 부산시

여행사와 항공업계는 가덕도 신공항 논의에 즉각 환영의 뜻을 내비치고 있다. 최근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대한 여행 수요를 채울 수 있다는 계산이다. 실제로 2016년 9만 9358편에 달하던 김해공항의 항공편수는 지난해 10만 7363편으로 8005편 증가에 불과했다.

여행업계 관계자들은 “동남권 지역 여행자의 여행수요는 매년 두 자릿수를 넘어 세 자릿수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항공노선이 그에 따르지 못해 다양한 여행상품을 구성할 수 없다”며 “항공편이 기본적인 항공슬롯이 확보되지 않아 장거리 노선은 물론, 중거리 노선도 없어 이에 대한 수요는 전부 인천공항으로 돌리고 있다”고 말했다.

장거리 노선 항공사 관계자도 “근거리와 달리 장거리 노선은 불확정 요소와 변수로 탑승시간이 변동되는 경우도 많다”며 “만약 탑승시간 딜레이로 김해공항에 11시에서 6시 사이에 도착할 경우 착륙자체가 안된다. 이에 대한 책임은 국토부와 공항이 아닌 항공사가 짊어져야 하기에 신노선 확충에 고민이 많다”고 전했다.

장거리 노선을 유치할 수 없어 동남권 중심공항의 위상은커녕 반쪽짜리 국제공항이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서도 지역자치단체와 국토부 간의 협의가 필요한 사항이다. 사진/ 싱가포르 관광청

한편, 현재 김해공항에서 이동이 가능한 중장거리 노선은 싱가포르에 불과하다. 장거리 노선을 유치할 수 없어 동남권 중심공항의 위상은커녕 반쪽짜리 국제공항이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서도 지역자치단체와 국토부 간의 협의가 필요한 사항이다.

Tag
#N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