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세로 자리 잡은 공유숙박 “진입 장벽 낮추고 유지관리 쪽으로 제도 정비해야”
상태바
대세로 자리 잡은 공유숙박 “진입 장벽 낮추고 유지관리 쪽으로 제도 정비해야”
  • 임요희 기자
  • 승인 2019.05.29 16: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법 영업 막으려면 ‘외국인 관광도시 민박업’ 등 제도 정비가 우선
공유숙박 중개플랫폼 ‘에어비앤비’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공유숙박을 이용한 여행객은 290만 명으로 나타났다. 사진/ 에어비앤비

[트래블바이크뉴스=임요희 기자] 구매도 소유도 아닌 공유를 통해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하는 공유경제가 우리 사회의 소비 트렌드로 자리 잡은 지는 꽤 됐다.

이들의 급격한 성장세는 공급자와 수요자의 만남의 장이 모바일 공간으로 확대된 것과 무관하지 않다.

공유숙박 중개플랫폼 ‘에어비앤비’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공유숙박을 이용한 여행객은 290만 명으로 전년(190만 명) 대비 56%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유숙박의 경우 유연성은 극대화되어 호황, 불황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사진/ 에어비앤비

전통적인 시장경제에서는 판매를 목적으로 물건을 제조하지만, 공유경제에서는 내가 쓰고 남는 물건을 팔기 때문에 도산이나 공황의 위험이 없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공유숙박의 경우 유연성은 극대화되어 호황, 불황과 관련해 부침이 적다.

반면 공유숙박은 일관된 기준이 없는 것과 규제의 벽이 지나치게 높은 것이 단점으로 지목되고 있다. 민박 가능 건물에 대한 기준이 높다는 것도 합법적인 운영을 가로 막는 장벽이다.

서울을 비롯한 주요 관광지에선 관광진흥법에 따라 ‘외국인 관광도시 민박업’ 신고 후 외국인만 손님으로 받아야 한다. 사진/ 서울시

오피스텔이나 도시형 생활주택은 민박업을 유치할 수 없는 데다 주요 관광지에선 관광진흥법에 따라 ‘외국인 관광도시 민박업’ 신고 후 외국인만 손님으로 받아야 한다. 이러한 규제는 불법 공유숙박업소를 양산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제도권의 관리를 받지 못하다보니 일부 업소는 예약, 해약, 객실 위생상태, 안전문제와 관련해 투숙객과 빈번한 마찰을 빚는 중이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 지난해 공유숙박업소의 규제를 완화하는 법령을 정비, 관광수요를 끌어올리는 동시에 음성 영업을 없애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사진/ 에어비앤비

가까운 일본의 경우 지난해 공유숙박업소의 규제를 완화하는 법령을 정비, 관광수요를 끌어올리는 동시에 음성 영업을 없애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민박 가능 주택의 폭을 넓히는 한편 엄격한 관리기준을 적용, 유지관리 쪽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최근 일본 시장을 겨냥해 숙박관리플랫폼을 개발한 국내 스타트업 업체가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이루어 화제가 된 바 있다. ‘H2O’의 경우 라쿠텐, 야놀자, 유베이스, 부킹닷컴 등의 협력업체를 상대로 현재 1600개 객실을 위탁 관리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공유숙박이 기존 숙박업과의 마찰을 피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려면 제도 정비가 우선”이라며 “진입장벽을 낮추는 대신 철저한 감시 시스템을 가동해 유지관리에 더욱 많은 신경을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Tag
#N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