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개장하는 '광화문 광장' 주말 나들이로 나서 볼까?
상태바
오늘 개장하는 '광화문 광장' 주말 나들이로 나서 볼까?
  • 김효설 기자
  • 승인 2022.08.06 08: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역사와 문화 이야기를 품고 도심 속 시민쉼터로 돌아와…’

 

녹지와 휴식 공간을 채우고 도심 속 휴식 공간으로 8월 6일 개장하는 광화문광장. 사진/ 김효설 기자
녹지와 휴식 공간을 채우고 도심 속 휴식 공간으로 8월 6일 개장하는 광화문광장. 사진/ 김효설 기자

[트래블바이크뉴스=김효설 기자] 역사와 문화 이야기를 품고 재탄생하는 ‘광화문 광장’이 공원 같은 도심 속 휴식 공간으로 6일 개장한다. 1년 9개월 동안 공사를 마치고 시민 품으로 돌아오는 광화문 광장은 광장 면적의 1/4(9,367㎡)이 푸른 녹지로 채워진다. 광장 곳곳에 심은 나무와 휴게시설은 광장 방문객들이 공원에 온 듯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광화문 광장'이  녹지와 휴식 공간을 채우고 ‘공원 같은 광장’으로 다시 태어난다. 전체 면적은 종전보다 2배가, 녹지는 3배가 커졌고, 곳곳에 쉬어갈 수 있는 공간들도 마련됐다. 서울시는 ‘자연과 녹음이 있는 편안한 쉼터’에서 일상의 멋과 여유를 즐길 수 있도록 광장 곳곳에 우리나라 고유 수종 중심으로 키 큰 나무 300그루를 포함한 5,000주의 나무를 식재하고 다양한 휴식 공간을 마련했다.

광화문 앞에 펼쳐진 ‘육조마당’에는 조선시대 육조거리 모습과 현재 광화문의 아름다운 경관을 살리기 위해 넓은 잔디광장을 만들었다. 사진/ 김효설 기자
광화문 앞에 펼쳐진 ‘육조마당’에는 조선시대 육조거리 모습과 현재 광화문의 아름다운 경관을 살리기 위해 넓은 잔디광장을 만들었다. 사진/ 김효설 기자

광화문 앞에 펼쳐진 ‘육조마당’에는 조선시대 육조거리 모습과 현재 광화문의 아름다운 경관을 살리기 위해 넓은 잔디광장을 만들었다. 발굴된 배수로는 1392년 조선 건국부터 현재까지 역사를 기억할 수 있도록 '역사물길'로 재탄생했다. 매년 역사를 돌판에 기록한 역사물길이 이곳 육조마당에서 시작된다. 역사물길 옆에 설치된 ‘앉음 벽’에 앉아 역사의 흐름을 느끼며 바로 옆에 심은 소나무 숲 향기를 맡을 수 있다.

발굴된 배수로는 1392년 조선 건국부터 현재까지 역사를 기억할 수 있도록 '역사물길'로 재탄생했다. 사진/ 김효설 기자
발굴된 배수로는 1392년 조선 건국부터 현재까지 역사를 기억할 수 있도록 '역사물길'로 재탄생했다. 사진/ 김효설 기자

사계절 푸르른 소나무는 우리나라 역사 문화 속에서 문인들과 화가들에게 사랑받아온 나무로 광장 초입에 배치했다. ‘소나무 정원’에 식재된 장송(강원도 강릉산) 군락 사이 산책로를 따라 광화문과 북악산의 경관을 볼 수 있다.

‘시간의 정원’에서는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시간의 흐름을 느낄 수 있다. 사헌부 터 유구 발굴 현장에서 드러난 지층을 형상화하여 ‘시간의 벽천’을 만들었다. 사진/ 김효설 기자
‘시간의 정원’에서는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시간의 흐름을 느낄 수 있다. 사헌부 터 유구 발굴 현장에서 드러난 지층을 형상화하여 ‘시간의 벽천’을 만들었다. 사진/ 김효설 기자

‘시간의 정원’에서는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시간의 흐름을 느낄 수 있다. 사헌부 터 유구 발굴 현장에서 드러난 지층을 형상화하여 ‘시간의 벽천’을 만들었고, 이곳에서 발굴된 매장문화재 ‘사헌부 문 터’는 전시 공간을 통해 방문객들이 직접 관람할 수 있다. 주변에는 역사적 경관과 어울리도록 장대석으로 한국 전통 정원인 화계(花階)를 만들고 매화나무, 배롱나무, 모란, 분꽃나무 등을 심었다.

장대석 화단을 따라 이어지는 ‘사계정원’은 뚜렷한 계절감을 느낄 수 있도록 우리나라 자생식물의 꽃, 열매, 단풍을 즐길 수 있는 장소이다. 사진/ 김효설 기자
장대석 화단을 따라 이어지는 ‘사계정원’은 뚜렷한 계절감을 느낄 수 있도록 우리나라 자생식물의 꽃, 열매, 단풍을 즐길 수 있는 장소이다. 사진/ 김효설 기자

장대석 화단을 따라 이어지는 ‘사계정원’은 뚜렷한 계절감을 느낄 수 있도록 우리나라 자생식물의 꽃, 열매, 단풍을 즐길 수 있는 장소이다. 사계정원 내에는 산수유, 산벚나무, 산딸나무, 배롱나무, 복자기 등을 심었으며, 정원 내 이동식 테이블·의자를 통해 시민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광화문광장 조성을 위하여 광화문 인근 소재 민간기업 및 비영리단체도 참여했다. ESG 협의체인 ‘광화문 원팀’에서 관목과 화초류 73종 1억 5,000만 원 상당을 기부하여 소나무정원~사계정원 구간에 심었고, 향후 식물 유지관리에도 참여할 예정이다.

세종문화회관 입구 주변 ‘문화쉼터’에는 우리나라 산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참나무류를 심었으며 참나무 숲속에는 가운데에서 맑은 물이 샘 솟는 ‘샘물탁자’와 ‘모두의 식탁’을 설치한 휴식 공간들도 눈에 띈다. 사진/ 김효설 기자
세종문화회관 입구 주변 ‘문화쉼터’에는 우리나라 산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참나무류를 심었으며 참나무 숲속에는 가운데에서 맑은 물이 샘 솟는 ‘샘물탁자’와 ‘모두의 식탁’을 설치한 휴식 공간들도 눈에 띈다. 사진/ 김효설 기자

세종문화회관 입구 주변 ‘문화쉼터’에는 우리나라 산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참나무류를 심었으며 참나무 숲속에는 가운데에서 맑은 물이 샘 솟는 ‘샘물탁자’와 ‘모두의 식탁’을 설치한 휴식 공간들도 눈에 띈다.

세종대왕 동상 앞과 세종문화회관 중앙계단 앞은 각종 행사를 위한 ‘놀이마당’이다. 크고 작은 다양한 행사를 할 수 있도록 나무를 심지 않고 공간을 비워두었다. 놀이마당 양측에는 행사 관람과 휴식을 위하여 앉음 터와 넓은 의자를 배치했다.

열린마당’은 나무 그늘에서도 열린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팽나무, 느릅나무, 칠엽수 등을 심었으며, 바닥에는 전국 각지에서 가져온 8종의 돌로 팔도석 포장 구간을 조성했다. 사진/ 김효설 기자
열린마당’은 나무 그늘에서도 열린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팽나무, 느릅나무, 칠엽수 등을 심었으며, 바닥에는 전국 각지에서 가져온 8종의 돌로 팔도석 포장 구간을 조성했다. 사진/ 김효설 기자

이어지는 ‘열린마당’은 나무 그늘에서도 열린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팽나무, 느릅나무, 칠엽수 등을 심었으며, 바닥에는 전국 각지에서 가져온 8종의 돌로 팔도석 포장 구간을 조성했다.

‘열린마당’ 옆으로 위치한 ‘광화문계단’에는 해치마당 내부와 광장을 연계하는 지형 단차를 활용하여 녹지 및 휴식 공간을 조성했다. 시민들은 느티나무 그늘 계단 아래에 앉아 담소를 나누거나, 맞은편 영상 창(미디어 월)에서 상영되는 다양한 콘텐츠의 영상을 볼 수 있다.

‘열린마당’ 옆으로 위치한 ‘광화문계단’에는 해치마당 내부와 광장을 연계하는 지형 단차를 활용하여 녹지 및 휴식 공간을 조성했다. 사진/ 김효설 기자
‘열린마당’ 옆으로 위치한 ‘광화문계단’에는 해치마당 내부와 광장을 연계하는 지형 단차를 활용하여 녹지 및 휴식 공간을 조성했다. 사진/ 김효설 기자

마지막으로, 광화문역 7번 출구를 나오면 바로 ‘광장숲’과 연결된다. 광장숲에는 느티나무, 느릅나무, 팽나무 등 키 큰 나무를 비롯하여 산수국, 박태기나무, 병꽃나무 등 키 작은 나무와 화초류를 다층으로 심어 숲과 같은 녹음이 풍성한 휴식 공간을 만들었다.

여장권 서울시 균형발전 본부장은 “광화문광장이 대한민국 중심 공간으로써 역사와 일상을 담을 수 있고, 다양한 광장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매력적인 공간으로 만들고자 노력했다”며 “숲과 물이 어우러지고, 쉼이 있는 공원 같은 광장에서 시민이 편안하게 일상과 문화를 즐기고, 휴식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새 광화문광장 개장을 하루 앞둔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옥상에서 강성필 광화문광장 사업반장이 취재진에게 사업개요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 김효설 기자
새 광화문광장 개장을 하루 앞둔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옥상에서 강성필 광화문광장 사업반장이 취재진에게 사업개요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 김효설 기자

6일 광화문광장이 개장하면 8일부터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광장 사용 신청을 받는다. 광장 사용은 22일부터 가능하다.

한편, 서울시는 새로운 광화문 광장을 집회와 시위가 아닌, 문화와 여가 공간으로 운영하겠다는 방침으로 자문단도 구성해 사실상 허가제로 운영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