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윤동주‧이중섭이 걷던 인왕산 아랫동네 ‘서촌’
상태바
이상‧윤동주‧이중섭이 걷던 인왕산 아랫동네 ‘서촌’
  • 이혜진 기자
  • 승인 2019.08.08 10: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00년 골목길…문화의 향기 가득
지붕 밑 서촌 한옥이 마치 영화 세트장처럼 시간을 잊고 멈춰 있다. 이곳은 가게 단위 규모를 규제해 프랜차이즈가 못 들어오게 하고 있어 수백채의 한옥들이 남아있다. 사진/ 이혜진 기자

[트래블바이크뉴스=이혜진 기자] 서촌은 세종대왕이 나고 자란 곳이어서 ‘세종마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조선시대 중인과 일반 서민이 자란 삶의 터전이었으니, 그 생생한 느낌이야 500년 왕조 역사를 뚫고 오늘날까지 이어진다. 

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촌을 찾았다. 이곳에 위치한 '보안여관'은 여관의 문화적 변신을 상징하는 장소다. 사진/ 이혜진 기자

7일 오후 서촌 탐방은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에서 시작했다. 3번 출구에서 나와 북쪽으로 걷다 스타벅스를 끼고 오른쪽으로 돌아 다시 왼쪽으로 가니 ‘통의동 백송 터’가 나왔다. 

터에 설치된 안내문에 따르면 통의동의 나무는 국내 흰소나무 중 가장 크고(높이 16m) 모양이 아름다워 1962년 천연기념물 제4호로 지정됐다. 그러나 1990년 경향신문은 “밤새내린 집중호우로 통의동 주택가 공터에 있던 천연기념물 제4호 백송이 뿌리째 뽑혀 쓰러졌다”고 보도했다. 3년 뒤 동아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백송은 사망선고 후에도 계속 방치되어오다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돼 경기도 광릉의 산림박물관에 보내졌다. 

'통의동 백송터'에 나무 그루터기만 남아 있다. 과거 이곳의 흰 소나무는 추사 김정희가 중국에서 종자를 들여와 심은 것으로 전해진다. 1990년 태풍으로 쓰러져 고사했다. 사진/ 이혜진 기자

태풍에 쓰러져 거대한 밑동만 남은 터 인근에는 지금도 소박한 옛 한옥이 옹기종기 모여있다. 양반집이 남아있는 북촌보다 정겨운 느낌이었다. 통의동 한옥마을 뒷골목에선 종로 600년 골목길의 매력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다.

서촌 한옥마을엔 근·현대 문화의 향기도 남아있다. 작가 이상과 윤동주 그리고 화가 이중섭과 박노수, 이상범 등 당대 유명 예술가들이 이곳에 살았다. 이 중 조선의 마지막 왕인 순종의 장인이자 친일파였던 윤덕영이 딸을 위해 1938년 지은 ‘박노수 가옥(현 종로구립 박노수미술관)’은 한국화의 거장 박노수 화백이 살면서 작품 활동을 해오던 집이다. 7일 찾아갔을 땐 미술관 개관 5주년을 기념하는 전시가 열리고 있었다. 

종로구 통인동 '이상의 집'. 지난해 보수공사를 끝내고 재개관했다. 이상의 집 자리는 이상이 1912년부터 1933년까지 산 곳이다. 사진/ 이혜진 기자

인근엔 지난해 말 재개관한 ‘이상의 집’이 있다. 천재 작가 이상의 자료 156점과 동상을 전시하고 있는데, 매입·운영·재개관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이 일반 시민의 참여와 민간기업의 후원으로 이뤄졌다. 문화유산의 민관협력 운동에 새로운 이정표가 된 셈이다. 

윤동주문학관 안에서 위를 올려다 본 모습. 2017년 초까진 하얀 외벽 위에 가지를 드리운 팥배나무가 있어서 운치를 더했으나 당해 봄 나무가 말라죽어 베어냈다. 사진/ 이혜진 기자

인근 윤동주문학관 2층에는 카페가 있어 창의문로를 직접 걸어온 시민들은 이곳에서 더위를 식힐 수 있다. 3층 시인의 언덕에서는 남쪽으로는 서울 강북 도심과 남산, 북쪽으로는 부암동과 평창동이 펼쳐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서촌 골목을 따라 걷다 보면 통인시장이 나온다. 이곳의 상징은 도시락과 기름떡볶이. 사진/ 이혜진 기자

이밖에도 엽전 도시락과 기름떡볶이로 유명한 통인시장은 저렴한 값으로 한 끼를 책임진다. 우산을 쓰고 숨바꼭질하듯 서촌을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Tag
#N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