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의 명절 ‘추석’, 시작은 언제부터?
상태바
민족의 명절 ‘추석’, 시작은 언제부터?
  • 김지현 기자
  • 승인 2016.09.09 14: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라시대 음력 7~8월에 성대하게 노는 풍습서 유래
'추석'은 신라에 음력 7~8월에 성대하게 노는 풍습이 있었고 이를 ‘가배(嘉排)’라고 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추석의 다른 말인 ‘한가위’도 아마 여기서 유래됐을 것으로 보인다. 사진 출처/트래블바이크뉴스 DB

[트래블바이크뉴스=김지현 기자] 벌써 추석이 다가오고 있다. 올해 유난히 추석이 빨리 온 듯하다. 게다가 직장인이라면 불감청고소원(不敢請固所願)일 수목금토일요일까지 황금연휴다.

그렇다면 추석은 언제부터 명절로 받아들여졌을까.

추석이 언제부터 명절로 받아들였는지는 정확하게 할 수 없다고 한다. 다만 삼국사기나 이를 인용한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따르면 이미 신라에 음력 7~8월에 성대하게 노는 풍습이 있었고 이를 ‘가배(嘉排)’라고 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추석의 다른 말인 ‘한가위’도 아마 여기서 유래됐을 것으로 보인다.

사실 음력 8월 15일에 명절을 치르는 건 한국만이 아니다. 중국의 추석은 ‘중추절’이라고 하고 일본에서는 비슷한 명절을 ‘오본’이라고 한다. 베트남에서는 ‘뗏중투’라고 해서 비슷한 명절을 치르니 추석은 동아시아 지역 전체의 명절인 셈이다.

음력 8월 15일에 명절을 치르는 나라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의 ‘중추절’, 일본의 ‘오본’, 베트남에서는 ‘뗏중투’라는 비슷한 명절을 치른다. 사진 출처/서울시청

그러다 보니 추석과 관련된 고사, 전설 등이 각 지역마다 전해지곤 한다. 이런 것 중에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항아분월(嫦娥奔月:항아가 달로 도망가다)’이다. 사실 항아 이야기는 4세기 정도부터 전해지기 때문에 세부사항이 다르거나 심지어 주인공만 같고 큰 줄기 자체가 다른 여러 버전이 정해지는데, 이 중 잘 알려진 것은 이렇다.

천상에 항아(상아(嫦娥)라고도 한다)와 예(羿)라는 신이 있었는데, 이들은 부부였다(항아가 여신, 예가 남신이다). 어느 날 해가 동시에 열 개가 떠올라 세상이 바싹 말라가다가 아예 타들어가기 시작했다. 그러자 천하에 없을 장사였던 예가 활을 들어 그중 아홉 개를 쏘아 떨어뜨렸다. 헌데 이 해들은 모두 천제(天帝)의 자식들이었기 때문에 진노한 천제는 항아 부부를 인간으로 만들어 세상에 내쳤다. 사람이 된 예는 다시 천상으로 돌아갈 방법을 찾기 위해 온갖 고생 끝에 신선들의 여왕 서왕모(西王母)를 만났다.

추석과 관련된 고사, 전설 중에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항아분월'로 남편을 배신한 벌을 받아 천상으로 돌아가지는 못하고 달에서 계속 머무르게 됐다고 한다.사진 출처/서울시청

서왕모는 예에게 반을 먹으면 지상에서 불로장생하고, 한꺼번에 먹으면 천상으로 올라갈 수 있는 영약을 주었고 예는 이 약을 항아와 나누기 위해 소중히 간직하고 돌아왔다. 하지만 항아는 천상으로 올라가고 싶었던 나머지 남편을 따돌리고 영약을 홀딱 먹어버리고 하늘로 날아올랐다. 하지만 항아는 남편을 배신한 벌을 받아 천상으로 돌아가지는 못하고 달에서 계속 머무르게 됐다고 한다.

항아가 배신자가 아니라 비련의 여주인공인 이야기도 있다. 예가 서왕모에게서 영약을 얻어 온 잠시 집을 비운 적이 있었는데, 예의 제자 중 하나가 영약에 대한 욕심으로(절세미녀인 항아를 겁탈하기 위해서라는 이야기도 있다) 항아만 머물고 있는 집에 들이쳤다.

약(또는 자신의 몸)을 지켜낼 힘이 모자랐던 항아는 결국 약을 삼켜버렸고 이내 하늘로 떠올랐다. 하지만 항아는 남편을 너무 사랑한 나머지 계속 달에 머물며 지금까지도 예를 그리워하고 있다고 한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